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논문 창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논문 창고

학위논문 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페이지 정보

사회복지연구소 18-02-19 20:39 조회 4,636회 댓글 0건

본문

SL사회복지연구소 http://www.welfarestory.com 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공유합니다.

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Community Network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Volunteer Organizations on Thei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저자 류영수
발행정보 평택대학교 2017년

초록
본 연구는 40여년의 역사를 지닌 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의 자원기준이론에 근거하여 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특성이 조직의 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 분석하는데 관심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의 특성에 따른 지역사회 네트워크 특성을 파악하고, 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며, 나아가 조직간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특성이 조직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설정하고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의 답을 얻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네트워크특성(구조적 특성: 지역사회 네트워크 규모, 지역사회 네트워크 밀도, 상호작용적 특성: 지역사회 네트워크 필요사업 수, 지역사회 네트워크 내용의 수, 상호작용 빈도, 기능적 특성: 자원의 충분성 인식)을 독립변수, 조직효과성(직무만족: 직무와 적성의 적합함, 일에 대한 성취감, 사업성과: 조직의 목표수행성, 조직의 통합성, 조직의 생산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의 특성(조직운영특성: 지역소재지, 직원 직위, 운영기간, 운영인력)을 통제변수로 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조사대상 전국 187개 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 중 전국 17개 시·도사회복지자원봉사관리본부와 사회복지자원봉사관리센터 612명을 대상으로 2016. 11. 16∼29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로 우편(공문)과 이메일 설문조사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는데, 회수된 200부의 설문지 중에 불성실 응답 3부를 제거하고 실제분석에는 197부가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회수된 설문지를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단순적률 상관관계검증, 다중회귀분석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사회복지 자원봉사조 직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특별시·광역·도 단위에 위치한 사회복지자원봉사조직은 103개소로 절반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시·군·구 단위는 84개소로 나타났다. 운영형태는 법인설립 운영이 179개소로 거의 대부분이 법인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단체 위탁운영이 5개소, 자치단체 혼합직영이 1개소로 나타났다. 운영기간은 30-39년이 64개소로가장 많았으며, 50년이상이 41개소, 20-29년이 23개소로 나타났다. 최소 운영기간은 5년 정도이며, 최대운영기간은 약 74년으로 조사되었다. 직원 수는 10-19명이 34개소로 가장 많았으며, 20-29명이 15개소, 10명미만이 3개소로 나타났으며, 최소인원은 2명이었으며, 최대인원은 180명이었으며, 평균 29명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직위현황을 살펴보면, 사회복지자원 봉사관리센터에서는 시설장(관장)이 63명으로 가장 많이 참여하였으며, 다음으로 인증관리요원이 51명으로 많이 참여하였으며, 과장(팀장)이 29명, 사무국장(부장)이 28명 순으로 나타났다. 시·도사회복지자원봉사관리본부는 인증관리요원이 18명으로 가장 많이 참여하였으며, 상근부회장·사무총장·사무처장이 4명, 과장이 3명 순으로 나타나 연구대상자의 대부분이 인증관리요원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의 직원 개인특성으로 직원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자가 114명, 여자가 67명으로 나타나 기관장의 성별은 남자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을 보면, 50대가 8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40대가 33명, 60대이상과 30대가 각각 23명이었으며, 20대도 13명으로 나타났다. 최소연령은 25세이었으며, 최대연령은 70세 이었으며, 평균연령은 약 49세로 조사되었다. 학력은 대학원졸(석사)이 7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4년제 대학졸이 57명, 대학원(박사수료)이 17명으로 나타나 대학원 이상이 50%이상으로 매우 높은 고학력을 보였다. 직원의 사회복지 관련업무 경력을 살펴보면, 20-29년이 8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10년미만과 10-19년이 각각 34명, 30-39년이 22명 순으로 나타났다. 최소경력은 1년 1개월이었으며, 최대경력은 43년 9개월이었으며, 평균경력은 약 20년으로 조사되었다. 둘째로,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특성을 살펴보면,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조적 특성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규모는 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 청소년센터, 여성자원봉사활동센터 등)과는 평균 5.2개소와 연계되었으며, 관공서(주민자치센터, 경찰서 및 소방서 등)는 2.9개소, 학교(초·중·고교, 대학교 등)는 4.5개소, 지역사회(자원봉사단체, 후원단체, 종교단체, 의료기관, 비영리민간단체 등)는 6.2개로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단체수는 평균 3.8개소로 조사되었다. 지역사회 네트워크 연계밀도를 리커트 5점 척도로 살펴보았을 때, 연계밀도는 학교가 4.4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사회와는 4.4점으로 비교적 높은 밀도를 보였다. 반면, 관공서와 연계밀도는 3.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연계밀도가 전반적으로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네트워크상호작용적 특성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필요사업 수를 살펴보면, 10개미만이 6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20-29개가 66명, 10-19개가 30명 순으로나타났다. 지역사회 네트워크에 필요한 단위사업의 평균은 41.3개로 조사되었다. 지역사회 네트워크 내용의 수를 살펴보면, 자원봉사자 의뢰가 17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자원발굴 및 활용이 165명, 지역사회 공동사업 추진이 154명, 정보교환이 153명 순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빈도인 시·도사회복지자원봉사관리본부(사회복지자원봉사관리센터)의 조직간 지역사회 네트워크 연계에 대한 접촉빈도를 살펴보면, 지역사회와 접촉빈도가 평균 33회로 가장 많았으며, 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과의 접촉빈도는 평균 21회, 학교와의 접촉빈도는 12회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 접촉빈도는 13회 정도로 조사되었다. 지역사회 네트워크 기능적 특성은 시·도사회복지자원봉사관리본부(사회복지자원봉사관리센터)의 업무 중 지역사회 네트워크 형성과 자원운용의 충분성으로 지역사회 네트워크 기능적 특성을 살펴보면, 충분성의 척도는 5점 리커트 척도로 1점 매우불충분, 5점 매우충분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네트워크 강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충분성은 3.9점으로 거의 대체로 충분하다는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셋째로, 조직효과성을 살펴보면, 조직효과성은 직무만족도와 사업성과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직무만족도는 5점 만점 중 4.25점으로 직무만족도가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사업성과는 3.8점으로 보통이상으로 어느 정도 성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얻은 본 연구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자원기준 이론에 근거하여 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은 부족한 자원을 외부로부터 획득하고, 지역사회주민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확산시키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써 선택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특성이 조직의 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원기준 이론의 주요 접근방법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비영리조직인 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유용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실천적·정책적 측면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원을 충분히 확보하고 지역사회 네트워크에 필요한 단위사업 수를 늘리고 직원 수를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 분야는 휴먼 서비스이므로 국민에게 군림하는 옥상옥의 행정행태가 아니라, 국민과 지역사회주민, 사회복지 자원봉사 조직에 진정성 있게 다가가는 행정행태로의 전환이 시급함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사회복지 자원봉사에 대한 처우개선이 시급히 정책실천이 되어 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에서 자원봉사실천 하는 업무가 보람되고 직무만족도도 더 높아질 수 있도록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는 행·재정적인 지원을 하여야 한다.
추천0

SNS 공유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L사회지식연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