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사회복지교육이 사회복지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논문 창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논문 창고

학위논문 대학의 사회복지교육이 사회복지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사회복지연구소 18-03-20 10:08 조회 2,414회 댓글 0건

본문

SL사회복지연구소 http://www.welfarestory.com 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공유합니다.

 

 

대학의 사회복지교육이 사회복지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rofessional education of social welfare on the social work self- efficacy : focused o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저자
주은수
발행정보
연세대학교 2003년

 

 

초록

대학사회복지 교육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교육의 내용이 방법론에 치중되어있으며, 한국적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교육을 통해 배출된 사회복지사의 효능감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실천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사회복지사 효능감을 측정하고, 그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학교육의 요소를 밝힘으로써, 대학 사회복지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양적 분석이 시도되었으며, 종속변수에는 사회복지사 효능감이, 독립변수에는 대학교육의 이론적 이해와 실습의 질, 실습의 횟수가 투입되었다. 통제변수로는 조직의 풍토와 경력, 담당업무, 학력이 고려되었다. 이상의 변수들로 구조화된 설문지는 서울특별시 소재 32개 종합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 160명에게 배포되었다. 이중 총 121부가 회수되었으며, 최종분석에는 116부가 사용되었다. 조사는 2002년 11월 25일부터 12월 14일까지 20일간 진행되었으며, 우편조사와 방문조사가 병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효능감은 5.00점 만점에 평균 3.48점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지지적 태도의 측면이 3.8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치료기술은 3.30점으로 가장 낮았다. 둘째, 대학교육에 대한 이해는 5점 만점에 평균 3.33점으로 나타났다. 과목별 이해도에 있어서는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개론의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사회복지론과 사회복지행정론은 평균 3.00점 이하의 저조한 이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대학의 사회복지교육 내용에 대한 이해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사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학의 교육이 우리의 현장을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해왔다. 하지만, 그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대학교육은 사회복지사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질의 실습경험이 사회복지사 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습 횟수는 사회복지사 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습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은 채, 단지 횟수만을 늘리는 것은 사회복지사 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오지 못할 것이다. 다섯째, 분석에 투입된 통제변수 중 조직풍토와 경력이 사회복지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며, 담당업무와 학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된 사회복지사 효능감 향상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교육내용에 대한 이해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강구 되어야 한다. 특히, 교육내용의 이해도가 낮게 나온 지역사회복지론이나 사회복지행정론에 대한 개선책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치료 기술의 효능감이 가장 낮게 나온 만큼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등 관련 교과목의 내용을 심화하고, 실습 위주의 수업방식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실습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대학의 연구자와 현장의 사회복지사가 연계하여 각 현장의 특성에 맞는 실습의 모형과 내용을 표준화하는 등 근본적인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대학의 실습 전담 교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cial Work Self-Efficacy (SWSE), to find factors that have positive influence on SWSE, and to provide the implication for social work education.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with designed questionnaire. Dependent variable was SWS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social work education, quality of practice, and the number of taking practice course. Culture of community welfare center, personal history as a social work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controlled. The samples of 160 social workers selected from 32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A total of 12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finally 11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5 to December 14 in 2002 by mail and on-site visit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ean of SWSE was 3.48 out of 5.00. In detail, supportive attitude showed the highest mean, 3.87. On the contrary, the mean of psychotherapeutic skill was 3.30. Second, mean of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social work education was 3.33 out of 5.00. Considering that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objectives of requirement courses, the mean score should be improved. Specially, it is needed to focus on ‘community organization’ and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Third,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social work education was appeared to directly related to SWSE. Some research pointed out that social work education had not fit into Korea. Nevertheless, social work education affected to SWSE. Forth, quality of practice was appeared to directly related to SWSE. However, the number of taking practice course was not related to SWSE. Therefore, increasing the number of taking practice course, without regarding to the quality of practice, could not raise SWSE. Fifth, culture of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personal history as a social worker were related to SWSE, but social worker's task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no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 for increasing SWSE as follows: First, social work education should be revised. Specially, the contents of clinical social work must be strengthened and practical teaching method is required. Second, quality of practice should be enhanced. For this purpose, standardized practice programs are needed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field. Above all, an appointment of professors for practice course is prerequisite. 

 

목차
  • 목차
  • 국문요약 = xi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1
  • 제2절 연구의 목적 = 3
  • 제2장 대학사회복지교육 분석 = 6
  • 제1절 대학의 사회복지교과과정 분석 = 7
  • 제2절 현장업무 분석 = 14
  • 제3절 교육의 현장 적용성 = 19
  • 제4절 선행연구 요약 = 22
  • 제3장 이론적 배경 = 24
  • 제1절 자기 효능감 = 24
  • 제2절 선행연구 검토 = 30
  • 제4장 연구방법 = 42
  • 제1절 연구내용 = 42
  • 제2절 측정도구 = 44
  • 제3절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 50
  • 제4절 분석방법 = 51
  • 제5절 연구의 제한점 = 52
  • 제5장 연구결과 = 54
  • 제1절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54
  • 제2절 사회복지사 효능감에 대한 분석 = 57
  • 제3절 독립변수 분석 = 59
  • 제4절 통제변수 분석 = 64
  • 제5절 주요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분석 = 66
  • 제6절 사회복지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67
  • 제6장 결론 및 제언 = 70
  • 제1절 연구결과 및 논의 = 70
  • 제2절 제언 = 73
  • 참고문헌 = 78
  • 부록(설문지) = 83
  • Abstract = 91

 

키워드

#social_worker #사회복지교육 #사회복지사 #서울특별시 #종합사회복지관 

 

추천0

SNS 공유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L사회지식연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