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그동안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부상한 여성의 자영업과 같은 경제활동은 전후 경제의 맥락에서 특히 자본주의와 어떠한 관계 혹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등의 측면에서 거의 논의되지 않았다. 그 이유로는 한국경제사를 주목한 연구들이 1950년대를 이승만 정권의 경제정책과 대기업을 위주로 성장과 발전의 관점에서 접근해왔으며, 전후 여성에 관 한 연구들은 한국전쟁으로 가족의 생계부양을 위해 공적영역에 진출한 전후 여성이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어떻게 사적영역에 제한되었는지를 문제시하는데 집중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당시 자영업의 일환인 양장점을 운영했던 여성들이 자신의 경제활동을 어떻게 의미화했는지를 ‘여성의 경제’라는 개념을 통해 분석한다. 연구 결 과 한국전쟁을 계기로 본격화된 여성의 양장점 운영은 가족의 생계부양과 경제적 자립, 일ㆍ가정 양립과 공-사영역의 유동적 구성, 기술직 직업인으로서 양재기술의 전수, 여 성중심의 새로운 관계 맺기와 네트워크 형성 등의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양장점을 운영한 전후 여성의 경제적 실천은 자본축적 위주의 가부장적 자본주의 경제활동과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후 양장점 운영을 통해 전개된 ‘여성의 경제’는 상품 생산은 물론 사회적 재생산을 하는 차이의 경제였음을 보여준다.


Thus far, post-war women's economic activities, such as self-employment, which appeared during the Korean War, have not bee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economy, particularly in the aspect of their relationship with or differences from capitalism. This is because much research on Korean economic history has approached the 1950s from the perspective of growth and development, focusing on national economic policy and major companies under the Syngman Rhee’s regime. In this sense, this paper explores how the post-war women who ran dressmaking shops interpreted their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the oral materials by examining women's self-employment through the research method called the "female economy." As a result, women who ran dressmaking shops after the Korean War have special meanings in the aspect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earning a living and supporting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creating a work-life balance and the flexible formation of a public/private domain, instructing on the dressmaking skill as a skilled professional, and forming new relationships or developing female-focused networks or communities. In this regard, the running of dressmaking shops by women in the post-war society differs from the accumulation of capital and the economic activities performed in the context of patriarchal capitalism. Thus, this paper discloses that the "female economy" constructed through the running of dressmaking shops by women as a new economic practice is an “economy of difference” that engaged in both the production of commodities and social re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