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들의 가정, 학교, 지역의 심리사회적 환경과 학교폭력과의 관계: 분노조절과 비행친구 접촉의 매개효과

Relationships Among Socio-Environmental School Violence Risk Factors, Protective Factors and Bullying at School: Testing a Mediational Model of Anger Control and Contact With Delinquent Friends

저자
이은희, 공수자, 이정숙
소속
건양대학교
조선간호대학교
전남대학교
학술지정보
발행정보
한국상담심리학회 2004년
피인용횟수
95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한국학술정보 국립중앙도서관 NRF
주제분야
사회과학 > 심리학 , 의약학 > 정신건강의학
키워드
의사소통, 부모감독, 교사애착, 학교애착, 폭력매체노출, 분노조절, 비행친구접촉, 학교폭력, exposure to media violence, bullying at school, anger-control, contact with delinquent friends, attachment to teacher, attachment to school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 311명을 대상으로 하여 가정(의사소통, 부모감독), 학교(교사애착, 학교애착), 지역의 심리사회적 환경요인(폭력매체 노출)이 분노조절과 비행친구의 접촉을 통하여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유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공변량 구조분석 결과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가정환경이 분노조절을 통하여 학교폭력에 간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심리사회적 학교환경이 분노조절과 비행친구의 접촉을 통하여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간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들의 지역의 심리사회적 환경요인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직접 유발할 뿐만 아니라 비행친구의 접촉을 통하여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간접적으로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가 청소년 학교폭력 예방과 상담적 개입에 어떤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와 연구의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a model of the mediating influences of anger-control and contact with delinquent friends in the relationship among socio-environmental school violence risk factors, protective factors and bullying at school. Data came from 311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Gity. Results from the structural analysis indicated that, as hypothesized, anger-control mediated the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al protective factors (communication with parents, parents` supervision) on bullying at schoo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environmental violence protective factors (attachment to teacher, attachment to school) and bullying ac school is explained by school environmental violence protective factor relations with two intervening constructs, anger-control and contact with delinquent friends. Furthermore, community environmental risk factor (exposure to media violence) had direct effect on bullying ac school, as well as contact with delinquent friend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media violence and bullying ac school. In addition 3 alternative models were estimated. The results of che tests of che 3 alternative models were not supported by the data, further sustaining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zed model. Lastl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참고문헌 85
previous page 1 2 3 4 5 6 7 8 9 next page
view options
맨위로

심리학 분야
피인용 상위 학술지